클레이튼 커쇼의 인간적인 면을 엿볼 수 있는 동영상을 준비했습니다. 그 전에 커쇼가 3번째 사이영상을 받을 때 그를 분석하는 자료를 LA Times에서 내놓았는데요, 못 보신 분도 있을 것 같아 소개하려고 합니다.
LA Times는 커쇼가 다른 투수와 다르게 만드는 이유 중 하나를 터널이라고 밝혔습니다. 커쇼의 터널은 공을 놓는 지점에서 4~6피트까지 터널의 길이가 연장된다고 합니다. 터널은 타자 입장에서 시각적으로 모든 구종의 투구가 똑같이 보이는 영역이라고 합니다.
터널이 길면 길수록 타자들은 구종을 파악하기 힘들어 좋은 타격을 하기 힘들어 집니다. 구종을 파악하고 마음에 준비를 하고 그에 맞는 적절한 스윙을 해야하는데요, 준비 시간이 짧다면 좋은 타격으로 이어지기 어렵게 됩니다.
커쇼 터널 설명
여기서 아쉬운 게 보통 투수들이 만드는 터널의 길이가 얼마나 되는지 소개를 했으면 좋았을 텐데요, 커쇼가 다른 투수보다 얼마나 더 돋보이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
아래 커쇼의 평균 구속은 낮게 느껴지는데요, 팬그래프 자료를 기준으로 했네요. 브룩스베이스볼 기준으로 보면 커쇼의 패스트볼이 93.88마일입니다. 브룩스베이스볼은 팬그래프 자료보다 약 1마일 정도 빠름을 알 수 있습니다.
커쇼는 정통파 오버핸드 투수인데요, 이런 점 때문에 범가너 류현진과 같은 왼손 투수보다 좌우변화가 적은 편입니다. 이 점은 오른손 왼손 타자 가릴 것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약점이 없을 것 같은 커쇼에게 끔찍한 구종이 있었으니 이 구종은 바로 체인지업입니다.
커쇼 구종 설명
커쇼의 선행은 너무나 잘 알려져 있습니다. 커쇼는 2세 출산으로 인해 미국에 머물러 있을 것으로 추측했는데요, 그의 부인 엘런 커쇼를 미국에 두고 그의 단짝 A.J. 엘리스와 도미니카로 향했습니다. 커쇼는 이번 겨울에도 그의 선행 도전을 계속 진행하고 있습니다.
커쇼와 엘리스는 도움이 필요한 도미니칸 공동체를 찾아가 선행을 베풀고 있습니다. 한 달 전 도미니카에서 시구하는 커쇼와 엘리스의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습니다. 그 뒤로 커쇼의 소식이 잠잠했는데요, 계속해서 도미니카에 머물고 있다고 합니다. 그가 최근 시간을 보내는 곳은 캄포 라스 팔마스(Campo Las Palmas)입니다.
커쇼의 선행, 커쇼의 도전은 계속된다.
캄포 라스 팔마스(Campo Las Palmas)는 도미니카 공화국에 있는 다저스 소유 야구 캠프장인데요, 나이 어린 선수들이 훈련하고 있는 곳입니다. 커쇼는 이곳에서 단짝 엘리스와 함께 재능 기부를 하고 있습니다. 커쇼는 자신의 무기인 구종과 컨트롤하는 방법에 대해 어린 선수들에게 알려주고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엘리스도 메이저리그에서 포수가 되려면 어떤 것이 요구되는지 등을 가르쳐주고 있습니다.
커쇼는 어린 나이에 운동만 해서 못해본 것이 참 많을 텐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커쇼의 선행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커쇼는 크리스천의 참모습을 보여주고 있네요.
많은 사람이 나를 지켜보는데 그들에게 신앙을 대놓고 전할 수는 없습니다. 그저 크리스천이 어떻게 사는가를 보여주려고 노력할 뿐입니다. [커쇼의 어라이즈에서]
어린 선수: 또 다른 구종 가진 거 있어요?
커쇼: 그게 전부야. 그저 4개... 아마 3개 반 ... 체인지업은 좋지 않아.
이상 마음이 흐뭇해지는 커쇼의 선행 도전 동영상이었습니다.
추가: 아래 댓글에 '지나가던 자'님께서 커쇼의 체인지업 동영상을 원하셨는데요, 급하게 만들어 보았습니다. 화질이 좋지 않습니다.
아래 2시간 27분에 영상 보시면 커쇼의 체인지업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2014년 9월 24일 8회 3번째 타자 파블로 산도발 타석입니다.
'MLB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로다 히로키의 의협심, 히로시마의 야구 열기와 추억 (8) | 2014.12.28 |
---|---|
조 윌랜드, 컨트럴 아티스트 다저스 선발 투수 파헤치기 (0) | 2014.12.27 |
2014 감사의 인사 & 베이스볼젠 연말 결산 (19) | 2014.12.25 |
브라이언 윌슨 방출과 LA 다저스 새판짜기 트렌드 분석 (5) | 2014.12.18 |
앤드류 프리드먼 관점에서 본 다저스 트레이드 (2) | 2014.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