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현진이 콜로라도 로키스 상대로 8승을 거두었습니다. 올스타전까지 5번의 선발 등판이 기다리고 있는데요, 올스타 이전에 10승 이상 바라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5경기 만에 A.J. 엘리스와 다시 호흡을 맞추었습니다. 예전 경기에서 엘리스는 류현진에게 바깥쪽 볼 위주의 공을 요구했는데요, 이번 경기에서는 달라진 볼 배합을 선보였습니다.
류현진은 최근 가장 뜨거운 콜로라도 로키스 타선을 상대로 랜던 경계선 피칭의 진수를 보여주었습니다. 엘리스가 류현진을 이렇게 지휘한다면 앞으로 큰 부진 없이 견고한 모습을 계속 보여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이 글에서는 류현진과 포수 엘리스 위주로 이야기를 풀어가려고 합니다.
앞서도 이야기했지만, 이전 경기에서 엘리스는 주로 낮은 볼과 바깥쪽 위주의 볼배합으로 상대 타선을 공략해왔습니다. 투 스트라이크를 잡고 나면 바깥쪽 패스트볼이나 전매특허 언터쳐블 체인지업으로 타자를 요리해왔습니다. 1년 동안 잘 써먹었던 패턴이었지만, 언제부터인가 타자들이 체인지업을 공략하기 시작했습니다. 바깥쪽과 낮은 볼을 위주의 볼 패턴으로 장타는 거의 맞지 않았지만, 위기 상황을 탈출해야 하는 시점에서 체인지업은 오히려 실점을 가져다주었습니다.
[그림1] 류현진과 A.J. 엘리스 배터리가 가져간 예전 볼 배합
위 그림1을 보면 바깥쪽 위주의 볼 배합을 가져갔다는 것을 한눈에 알 수 있습니다. 1번부터 7번까지는 2014년 3월 30일 미국 본토 개막전에서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상대로 던졌던 결과물인데요, 바깥쪽으로 1자 형태가 보일 정도로 바깥쪽만 고집했었죠. 다행히 이날 결과는 매우 좋았습니다. 그리고 자로 잰듯한 제구력이 일품이었죠.
[그림2] LA 다저스 류현진과 콜로라도 로키스 트로이 툴로위츠키
8번부터 10번까지는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상대 볼 배합인데요, 특히 10번 볼 배합이 문제가 되었습니다. 2사 주자 2, 3루 상황에서 위기를 탈출해야 하는데, 똑같은 공을 두 번 던지다가 안타를 맞고 말았죠. 마이클 모스는 4번째 공 체인지업을 노리고 있었는데 빠지자 건들지 않았습니다. 빠지지만 않았다면 치려고 맘먹고 있었고, 모스는 실제로 그 공에 움찔하며 반응했었어요. 엘리스는 모스가 치려고 기다리는 공을 또 요구했고 체인지업이 생각외로 가라 앉지 않으면서 판도라의 상자가 열리고 말았었죠.
그 당시 자이언츠전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세요.
[그림3] 류현진과 A.J. 엘리스 배터리가 가져간 랜덤 경계선 볼 배합
이번 콜로라도와 2번째 경기는 포수 엘리스가 아니라 포수 부테라인 줄 알았습니다. 다른 포수로 착각할만큼 다른 볼 배합을 가져갔는데요, 예전에 엘리스가 즐겨 애용해왔던 바깥족 위주의 볼 배합을 거의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류현진이 아주 좋았을 때 보여줬던 그 볼 배합으로 상대 타자의 타이밍을 빼앗고 무너뜨렸습니다.
가장 아름다웠던 볼 배합은 2회 1사 주자 2루 상황에서 찰리 컬버슨 상대로 보여줬습니다. 패스트볼, 커브, 슬라이더를 섞어 상하좌우 변화를 주면서 상대의 타이밍을 흐트러뜨렸습니다. 컬버슨은 스트라이크 존 근처의 공은 파울로 걷어 냈고, 볼로 빠지는 공은 치지 않으면서 류현진을 7구까지 괴롭혔습니다. 이때 컬버슨 상대로 던지지 않고 아껴둔 체인지업을 꺼내 듭니다. 코스도 정말 좋았고, 따라 나올 수밖에 없는 정말 멋진 체인지업을 던집니다. 결과는 투수 앞 땅볼 아웃이었죠.
이날 엘리스는 확실히 변화된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엘리스는 류현진에게 높은 공을 요구했고, 이 높은 공은 빠른 볼카운트에서 타자들을 현혹하여 삼진으로 이끌어 냈습니다. 물론 홈런도 맞았습니다. 류현진이 실투를 던진 이유도 있겠지만, 홈런을 때린 윌린 로사리오(Wilin Rosario)가 워낙 컨디션이 좋았습니다. 이번 경기에서 류현진이 내준 3안타 중에서 2안타를 로사리오가 때려냈죠. 포수 앨리스는 볼카운트 0-2 상황에서 삼진을 잡기 위해 유인하는 높은 공을 요구했습니다. 류현진은 몸쪽 약간 높은 쪽으로 실투를 던졌고, 로사리오는 그 실투를 놓치지 않고 홈런으로 연결시켰습니다. 로사리오는 몸쪽 공에 강점이 있던 타자였습니다. 실투할 수도 있습니다. 타자가 잘 친 겁니다.
[그림4] 류현진의 실투를 놓치지 않았던 로사리오의 홈런
[그림5] 윌린 로사리오에게는 몸쪽 공이 아주 뜨겁다.
류현진과 앨리스 배터리는 5회초 위 그림2-7에서 보듯이 야구 게임을 하듯 상하좌우 다양한 패턴과 다양한 코스로 랜덤 경계선 피칭의 진수를 보여줬습니다. 오늘 전체적으로 가운데 몰리는 공이 거의 없었죠. 정말 게임에서나 가능할법한 아름다운 피칭을 보여주었어요.
1: 바깥쪽 높은 패스트볼 -> 2: 몸쪽 중간 슬라이더 -> 3: 바깥쪽: 낮은 패스트볼 -> 4: 몸쪽 낮은 커브볼
-> 5: 바깥쪽 중간 슬라이더 (너무 빠짐) -> 6: 바깥쪽 중간 슬라이더 (다시 던짐) -> 7: 몸쪽 중간 패스트볼 -> 8: 가운데 낮은 패스트볼 -> 바깥쪽 중간 패스트볼
커맨드가 일정하지 않고 제구력이 뛰어나지 않은 투수에게는 랜덤 경계선을 요구하기 힘듭니다. 스트라이크를 넣지 못해서 랜덤 경계선 피칭이 나올 수는 있겠네요. 류현진은 정말 피칭을 아는 투수이고, 게임에서나 가능할법한 특급 제구력을 가진 선수입니다. 류현진은 메이저리그에서 최근 가장 뜨거운 타율 1위 팀 타자들에게 타격 타이밍과 혼을 제대로 빼놓았습니다.
이번 경기에서 1회 상황이 가장 힘들었는데요, 툴로위츠키에게 커브로 삼진을 잡고, 저스틴 모어노에게 중전 2루타를 맞아 2사 주자 2, 3루가 됩니다. 류현진은 그동안 괴롭혀왔던 투투법칙에서 탈출하며 드류 스텁스를 삼진을 돌려세우며 무실점으로 삼진 2개를 기록하며 이닝을 마칩니다. 2회에도 선두타자에게 2루타를 맞고 실점 위기에 놓였는데요, 삼진을 2개나 잡으며 위기를 탈출했습니다.
날짜 |
상대팀 |
이닝 |
자책점 |
ERA |
포수 | 승수 |
3월 23일 |
@ARI |
5 |
0 |
0.00 |
엘리스 | 1승 |
3월 30일 |
@SD |
7 |
0 |
0.00 |
엘리스 | |
4월 4일 |
SF |
2 |
6 |
27.00 |
엘리스 | |
4월 11일 |
@ARI |
7 |
0 |
0.00 |
페드로위츠 | 2승 |
4월 17일 |
@SF |
7 |
0 |
0.00 |
페드로위츠 | 3승 |
4월 22일 |
PHI |
6 |
2 |
3.00 |
페드로위츠 | |
4월 27일 |
COL |
5 |
5 |
9.00 |
페드로위츠 | |
5월 21일 |
@NYM |
6 |
2 |
3.00 |
엘리스 | 4승 |
5월 26일 |
CIN |
7 1/3 |
3 |
3.68 |
부테라 | 5승 |
5월 31일 |
PIT |
6 |
2 |
3.00 |
부테라 | 6승 |
6월 6일 |
@COL |
6 |
2 |
3.00 |
부테라 | 7승 |
6월 11일 |
@CIN |
6 |
4 |
6.00 |
부테라 | |
6월 16일 |
COL |
6 |
1 |
1.50 |
엘리스 | 8승 |
1회 볼넷을 내준 후 저스틴 모어노에게 2루타를 맞아 2사 주자 2, 3루가 되었습니다. 결과적으로 2루타를 맞은 공은 저스틴 모어노가 노리고 있던 공이었습니다. 모어노는 바깥쪽 공에 반응하여 파울을 만들어 냈고, 몸쪽 공에 꿈쩍도 하지 않았습니다. 바깥쪽보다는 몸쪽 공으로 승부하는 게 좋을 것 같은 생각이 들었어요. 왜냐하면, 타자는 투수가 이전 공을 몸쪽으로 던졌기 때문에 이번에는 바깥쪽으로 분명 승부해 올 것이라고 예상을 합니다. 타자는 바깥쪽에 노림수를 가지고 있는 것이지요. 결국, 바깥쪽에 들어온 커브블을 잘 받아쳐 2루타로 만듭니다.
[그림 7] 1회 4번 저스틴 모어노 타석
'코리안 메이저리거 > 류현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류현진 타이거스 경기 부진 분석 및 보완점 (2) | 2014.07.10 |
---|---|
류현진 9승을 빛나게한 명불허전 체인지업 (2) | 2014.06.23 |
류현진의 신무기 컷 패스트볼 파헤치기 (6) | 2014.06.15 |
류현진의 8승을 괴롭혔던 투투법칙 (2) | 2014.06.12 |
류현진 천당과 지옥을 오갔던 류펙트(Ryufect) 경기 (0) | 2014.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