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바 열풍은 2012년 요에니스 세스페데스를 시작으로 2013년 야시엘 푸이그의 혜성같은 등장 함께 높아져갔고 2014년 호세 아뷰레유가 신인왕을 거머쥐면서 정점을 찍었다.
요에니스 세스페데스는 2012년 연봉 $6.5M 대비 약 3배 정도의 활약을 펼쳤고 2013년 메이저리그를 장악하는 야시엘 푸이그의 운동 능력과 가능성은 마이크 트라웃을 보는 것과 같았다.
특히 야시엘 푸이그는 2013년 연봉 $2M 대비 약 15배 이상을 활약을 했고 상품성을 놓고 볼 때 투자대비 성과는 이루 말할 수 없었다.
야시엘 푸이그의 성공 이후 메이저리그 팀들은 쿠바 선수들에게 쉽게 지갑을 열었고 심지어 묻지마 투자 열풍까지 불며 쿠바 선수들을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쓸어담았다.
MLB 쿠바 선수 거품 연봉, 떠오르는 엘도라도 KBO
A급 활약할 수 있는 쿠바 선수를 데려오면 검증되지 않은 위험부담이 있었지만, 비싼 FA 선수보다 훨씬 싼 값으로 데려올 수 있었다.
게다가 수준있는 FA 선수를 데려오기 위해서는 신인 드래프트 1라운드 선수 지명권을 포기해야하지만, 해외 FA인 쿠바 선수을 데려오면 1라운드 지명권을 포기하지 않아도 되는 큰 이점이 있었다.
다저스는 야시엘 푸이그의 성공에 힘입어 2013년 10월 알렉스 게레로와 2014년 2월 에리스벨 아루에바레나를 메이저리그 계약으로 체결했다. 심지어 알렉스 게레로는 평균 연봉이 푸이그보다 더 높았다.
이 두 명의 쿠바산 선수들은 메이저리그 기량을 보이지 못했다. 다저스는 알렉스 게레로를 살리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해보았으나 결국 퇴출하였고 에리스벨 아루에바레나는 마이너리그로 이관되었다.
호세 아뷰레유는 6년 총연봉 $68M 계약을 성사시켰다. 쿠바 선수로서는 처음으로 평균 연봉 $10M을 뛰어넘는 금액을 기록하게 되었다. 호세 아뷰레유는 2014년 첫해 fWAR 5.3으로 연봉대비 5배 이상의 성과를 이루어냈고 아메리칸리그 신인왕에 등극했다.
2014년 아메리칸리그 신인왕 호세 아브레유, 화이트삭스 SNS
2014년 주요 쿠바 선수 성적 (팬그래프 기준)
야시엘 푸이그, 연봉 $2M, fWAR 5.3, 가치 $40.5M
호세 아브레유, 연봉 $7M, fWAR 5.3, 가치 $40.4M
요에니스 세스페데스, 연봉 $10.5M, fWAR 3.3, 가치 $24.9M
요에니스 세스페데스를 시작으로 야시엘 푸이그, 호세 아뷰레유까지 거듭된 성공으로 쿠바 선수들의 몸값이 턱없이 치솟기 시작했다. 2014년 시즌 후 쿠바 선수의 연봉 거품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이다.
보스턴은 2014년 8월 외야수 러스니 카스티요와 7년 총 연봉 $72.5M에 계약을 했다. 이 금액은 호세 아뷰레유의 총 연봉 $68M을 뛰어넘었다. 카스티요는 알렉스 게레로의 쿠바 OPS 성적을 뛰어넘지 못했지만, 쿠바 열풍과 함께 피어오른 거품 속에 $70M시대를 열었다.
러스니 카스티요는 메이저리그 통산 타율 .262와 OPS .679으로 연봉 대비 기대에 못미치는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보스턴은 올해 젊은 외야수 재키 브래들리와 무기 베츠가 활약하는 가운데 연봉 $11.3M인 러스니 카스티요를 웨이버에 공시했고 클레임을 거는 구단이 없자 마이너리그로 내려보냈다.
쿠바리그 성적 (타율/출루율/장타율/OPS)
.341/.456/.622/1.078 호세 아브레유
.319/.404/.585/.989 요에니스 세스페데스
.311/.410/.527/.937 야시엘 푸이그
.303/.386/.528/.914 알렉스 게레로
.323/.407/.505/.912 헥터 올리베라
.315/.380/.501/.881 러스니 카스티요
.290/.345/.504/.849 야스마니 토마스
.307/.398/.440/.838 알레디미스 디아즈
애리조나 다이아몬스백스 야스마니 토마스, 애리조나 SNS
2014~2015년 스토브 시즌 야스마니 토마스가 시장에 나왔을 때 점입가경이었다. 야스마니 토마스를 잡기 위해 메이저리그 팀들의 경쟁은 불타올랐고 그 결과 호세 아뷰레유보다 더 높은 연봉인 6년 $68.5M 금액으로 애리조나 디백스와 계약을 체결하게 된다.
야스마니 토마스의 쿠바리그 성적은 좋지 않았지만, 애리조나는 그의 미래를 보고 영입한 것이다. 하지만 야스마니 토마스의 장타력은 터지지 않았고 수비까지 좋지 못해 메이저리그 통산 fWAR -1.7을 기록 중이다. 야스마니 토마스 계약은 쿠바 거품의 상징과 같은 계약이었으며 현시점 무리한 배팅의 끝을 보여주는 사례로 남아 있다.
다저스는 알렉스 게레로와 에리스벨 아루에바레나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다저스를 떠나게 될 2루수 하위 켄드릭, 유격수 지미 롤린스, 3루수 후안 유리베의 빈 자리를 메우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제치고 헥터 올리베라를 영입했다.
헥터 올리베라, MLB.com
다저스는 헥터 올리베라의 나이가 많고 팔꿈치 부상으로 이슈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금액인 6년 $62.5M에 1년 옵션 계약을 체결했다. 하지만 다저스는 헥터 올리베라를 빠르게 포기했고 연봉의 약 48%를 애틀랜타에 보조해주며 트레이드했다.
헥터 올리베라는 메이저리그 통산 타율 .245와 OPS .674, fWAR -0.2로 좋지 못한 성적을 기록 중이다. 설상가상으로 헥터 올리베라는 여성을 폭행한 혐의로 메이저리그 사무국으로부터 82경기 출전 징계를 받았다.
쿠바 선수들의 몸값 거품이 엄청났던 2014~2105년 겨울, 소수의 팀은 KBO 강정호에게 큰 관심을 보였다. 피츠버그가 강정호의 포스팅 입찰의 승자가 되었다. 피츠버그는 포스팅 금액 $5M을 포함해 강정호와 4년 $11M 계약+1년 클럽옵션을 체결했다. 4년 계약 기준 포스팅 금액을 포함하면 강정호의 평균 연봉은 $4M이었다.
2015년 계약 첫해 타율 .287, OPS .816, fWAR 3.9를 기록하며 신인왕 3위에 올랐고 팬그래프 기준 연봉 가치 $31.4M에 해당하는 활약을 펼쳤다. 2015년 연봉대비 12배 이상의 활약한 것이고 포스팅 금액 포함해도 7배 이상 활약한 것이다.
KBO 출신 최초의 야수 강정호가 엘도라도 시대를 열었다. 강정호의 성공으로 KBO 출신 선수들에게 메이저리그 문이 좀 더 열렸다. 박병호를 필두로 김현수, 오승환이 메이저리그 진출에 성공했고 마이너리그 계약을 맺었던 이대호가 스프링캠프 경쟁을 뚫고 마지막으로 메이저리그에 승선했다.
쿠바 선수들에 비해 저평가 되었던 KBO 출신 선수들은 악전고투하며 박병호를 제외하고 메이저리그에 살아남았고 팀에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선수로 떠오르고 있다.
시범경기에서 타율 .178로 부진했던 김현수에게 볼티모어는 언론을 통해 마이너리그로 보내기 위해 압박했다. 개막식 홈 팀에게 야유를 받았던 김현수는 절치부심하여 아주 드물게 찾아왔던 기회를 놓치지 않고 살려 주전 자리를 차지했다. 김현수는 ESPN에서 볼티모어 전반기 최고의 신인으로 평가받았다.
마이너리그 계약을 맺었던 이대호는 스프랭캠프 초청 선수로 바늘 구멍 같았던 경쟁에서 이겨내 25인 로스터에 합류했고 주전 1루수였던 아담 린드를 제치고 시애틀의 1루수가 되었다. 이대호는 MLB.com에서 시애틀 전반기 최고의 신인으로 평가받았다.
오승환의 활약은 입이 아플 정도다. 오승환은 올스타까지 거론되었을 정도 메이저리그 불펜 투수로 최고의 활약을 하고 있고 트레버 로젠탈을 대신해 세인트루이스 마무리 투수가 되었다. 2016년 메이저리그에 진출한 KBO 출신 선수 중 가장 높은 fWAR를 기록 중이다.
쿠바 선수이 연봉 대비해 올해 전반기 어떤 활약을 펼쳤는지 살펴보자. 야시엘 푸이그 이후 쿠바 열풍이 엄청났던 2013년 스토브 시즌 이후 계약했고 메이저리그에 올라 활약했던 쿠바 선수를 대상으로 하였다.
쿠바 선수 2016년 전반기 WAR 및 연봉
쿠바 선수의 2016년 평균 연봉은 약 $7M이었고 전반기 팀공헌도 bWAR는 0.4, fWAR는 0.2를 기록했다. 전반기 기록을 2배로 늘려 한시즌으로 생각해 1WAR 당 얼마나 들었는지 계산해보자.
쿠바 선수에게 1WAR 당 bWAR 기준 $8M, fWAR기준 $16M이 들었다. 1WAR 당 가치가 $8M 정도로 추정되고 있다. 최근 메이저리그 팀들이 쿠바 선수들에게 한 투자는 낙제점에 가깝다.
한국 선수 2016년 전반기 WAR 및 연봉
한국 선수의 연봉은 $2.3M로 쿠바 선수보다 약 3배 정도 낮다. 하지만 팀공헌도 WAR 기준으로 2~4배 이상 더 높은 활약을 해주고 있다. 메이저리그 팀들은 한국 선수에게 1WAR 당 bWAR 기준 $1.2M이 들었고 fWAR 기준 $1.3M의 비용이 든 것이다.
1WAR 당 가치를 $8M로 두면 메이저리그 팀들은 한국 선수들을 영입해 6배 이상 이익을 남겼다. 한국 선수를 영입한 메이저리그 팀들에게는 기쁜일이 있지만, 한국 선수들이 쿠바 선수들보다 실력에 비해 평가절하되어 있어 씁쓸하기도 하다.
쿠바 시장의 거품은 꺼지지 않고 있으며 레드 오션으로 바뀐 현시점, 쿠바 선수에 대한 사랑이 남다른 다저스는 나이 어린 쿠바 유망주들을 입도선매로 쓸어담고 있다.
세인트루이스가 현명한 소비자로 눈에 띈다. 세인트루이스는 2014년 알레디미스 디아즈와 4년 $8M로 저렴하게 계약을 맺었다. 디아즈는 올해 전반기 fWAR 2.4로 신인 선수 중 코리 시거 다음으로 2번째로 성적이 좋다. 세인트루이스는 KBO 출신 오승환을 영입해 연봉 대비 최고의 효과를 뽑아 내고 있다.
메이저리그 팀들은 엘도라도로 떠오르는 KBO 출신 한국 선수들에게 주목하고 있다. 앞으로 저평가 되어있는 한국 선수들의 가치가 메이저리그 시장에서 좀 더 개선되기를 바라며 이 글을 마친다.
[Copyright ⓒ 베이스볼젠 BaseBallG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LB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MLB핫이슈] 13승 무패 신화 스트라스버그, 커쇼 리햅? (0) | 2016.07.16 |
---|---|
드류 포머란츠 트레이드, 우승을 노리는 보스턴 레드삭스 (1) | 2016.07.15 |
[MLB핫이슈] 올스타 선발 라인업 조니 쿠에토, 크리스 세일 (0) | 2016.07.12 |
2016년 홈런 더비 우승 지안카를로 스탠튼 명불허전 파워 (0) | 2016.07.12 |
[MLB핫이슈] 푸이그 트레이드 대상, 그레인키 부상 문제 (4) | 2016.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