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이버매트릭스

MLB.com 문서 기준 타자 스탯 야구 용어 약자 알아보기

MLB.com에서 제공하는 야구 기본 용어 영어 약자(Baseball Basics Abbreviations)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야구를 접한지 얼마되지 않으신분들에게 야구 용어는 매우 생소하게 느껴지실텐데요, 용어가 영어라서 더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자주 접하거나 익숙해지면 어려지 않습니다. 


초보자들에게 LIPS(Late Inning Pressure Situations)이런 야구 약어는 차차 익숙해질 때 알아가셔도 충분합니다. 


그래서 별표를 사용해서 꼭 알아야할 야구 용어 약자와 나중에 알아도 되는 야구 용어 약자를 구분하였습니다. 


별표로 중요도를 표시했는데요, 별표 하나는 초보자분들이 야구 스탯을 잘 이해하기 위해 알아야할 용어입니다.


별표 중요도 ★       1개: 이해하기 어렵고 중요도에서 가장 떨어지는 용어입니다.

별표 중요도 ★    2개: 자주 쓰이지 않고 

별표 중요도 ★ 3개: 자주 쓰이고 필수적인 용어입니다.



MLB.com 문서 기준 타자 스탯 야구 용어 약자 알아보기



Hitting

타자의 스탯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아래는 MLB.com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스탯입니다. 아메리칸리그를 대표하는 MVP 타자 마이크 트라웃의 타격 스탯이네요.먼저 G부터 GO/AO까지 살펴보겠습니다.


마이크 트라웃 스탯 MIKE TROUT CAREER STATS


G - Games Played ★★★ 경기수, 대타로 나와 1타석에 나서도 경기수는 한경기가 됩니다.

PAPlate Appearance ★★ 타석,  경기에 모두 나온 타석수를 말합니다. PA가 주로 생략되기도 합니다.

AB - At Bats ★★ 타수,  타격이 완료된 횟수를 말합니다. 볼넷(고의 볼넷 포함), 몸에 맞은 공, 희생타,  타격 방해, 견제아웃으로 이닝 종료,  대타 교체일 때는 타수에서 제외됩니다.  에러나 야수선택으로 출루하였을 경우 타수에 포함이 되므로 타율과 출루율이 떨어지게 됩니다. 

AB = PA - BB - HP - SH - SF - CO,  

PA(타석), BB(볼넷),  HP(몸에맞은 공), SH(희생번트), SF(희생타), CO(포수 방해)

R - Runs Scored ★ 득점, 자신이 주자일 때 홈에서 점수를 올린 횟수를 말합니다. 



H - Hits ★ 안타,  1, 2, 3루타와 홈런의 합을 말합니다. H = 1B + 2B + 3B + HR

TB - Total Bases  ★ 누타수, 안타로 진루한 베이스의 총 합입니다.  한시즌 1루타 100개와 2루타 10개를 쳤다면 누타수를 계산하면 1*100+ 2*10  = 120, 120이 됩니다.  TB = 1*1B + 2*2B + 3*3B + 4*HR



1B - Single  ★ 1루타,  MLB.com에서는 1루타를 따로 기재하지 않습니다.  H안에 다 포함시킵니다. 따라서 1루타를 알기 위해서는 1B = H - 2B - 3B - HR로 계산합니다. 

2B - Doubles  ★ 2루타,  2루타를 말합니다.

3B - Triples  ★ 3루타,  3루타를 말합니다.

HR - Home Runs  ★ 홈런,  홈런을 HR로 표현합니다. 홈런을 Homer라고 표현하기도 하지요.

RBI - Runs Batted In ★ 타점, 타점을 말합니다. 



BB - Bases on Balls (Walks) ★ 볼넷,  Walks라는 표현을 쓰기도 합니다.

IBB - Intentional Walks ★ 고의 볼넷,  고의로 볼넷을 줄 때 IBB 안에 기록이 됩니다. 

SO - Strikeouts ★ 삼진,  스트라이크 아웃을 삼진을 말합니다.



SB - Stolen Bases ★ 도루,  루를 훔치는 일, 바로 도루이지요.

CS - Caught Stealing  도루 저지,  포수가 2, 3루로 도루를 시도하는 주자를 아웃 시키는 행위.



AVG - Batting Average  ★ 타율,  안타수를 타석수로 나눕니다. AVG = H/AB 

OBP - On-base Percentage ★ 출루율,  타자가 얼마나 많이 출루했는지에 대한 비율을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안타에 볼넷이 포함된 스탯이 출루율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몸에 맞는 공도 출루율에 포함됩니다. 고의사구도 출루율에 포함됩니다. 희생번트는 출루율에 포함 안되고 희생타는 출루율에 포함됩니다. 희생번트는 타격을 아예 포기한 것으로 간주되고 희생타는 적극적으로 안타를 치려고 하다가 나온 부산물이기 때문이죠. 추신수 선수가 볼넷, 몸에 맞는 공, 고의사구까지 합쳐져 높은 출루율을 기록할 수 있었습니다. 

OBP = (H+BB+HBP+IBB) / (AB+BB+HBP+IBB+SF) 

SLG - Slugging Percentage ★ 장타율,  타자의 장타력을 평가하는데 사용합니다. 누타수에 타석수를 나누어주면 됩니다.  SLG = TB / AB

OPS - On-base Plus Slugging Percentage  출루율과 장타율을 합을 말합니다.  9할 이상 넘어가면 훌륭한 타자라고 볼 수 있습니다. OPS = OBP + SLG



AO - Fly Outs★ 플라이 아웃,  뜬공 아웃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GO - Ground Outs ★ 그라운드 아웃,  땅볼 아웃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GO/AO - Ground Outs/Fly Outs ★ 뜬공 아웃 대비 땅볼 아웃 비율을 말합니다. 땅볼 아웃이 많으면 1.0이상 올라갈 것이고 뜬공 아웃이 많으면 1.0이하로 떨어질 것입니다. 다저스 디 고든은 2014년까지 GO/AO = 1.90을 기록해 땅볼 타자임을 알 수 있고, 배리본즈는 0.71을 기록하며 뜬공을 많이 치는 타자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개인 성적 말고 선수 전체 기록을 살펴보면  Next Stats 이라는 부분이 있습니다. 누르면 생소해 보이는 스탯들이 잔뜩나오네요. 겁먹을 필요 전혀 없습니다. 사실 어려운거 하나 없습니다.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IBB - Intentional Walks ★ 고의 볼넷,  고의로 볼넷을 줄 때 IBB 안에 기록이 됩니다. 

HBP - Hit by Pitch ★ 몸에 맞는 공을 말합니다. 볼 데드(Ball is dead) 혹은 데드 볼은 여러가지 이유로 플레이가 되지 않는 상황을 말합니다. 볼 인 플레이(Ball in Playr)와 반대되는 상황을 말하지요. 볼 데드 상황은 우리가 야구에서 흔히 보는데요, 심판이 타임을 선언했을 때 도루하거나 견제하거나 하지 않습니다. 또 파울 볼이 잡히지 않았을 때 주자가 움직이지 못해요. 가끔식 공이 펜스에 끼여 선수들이 플레이할 수 없다고 외치기도 하는데요,  이런 상황을 볼 데드라고 합니다. 몸에 맞는 공이 데드 볼 상황 중에 하나인셈이지요.  

SAC - Sacrifice Bunts ★ 희생 번트,  희생 번트는 출루율에서 제외됩니다. 

SF - Sacrifice Flies ★ 희생 플라이,  희생 플라이는 출루율에 포함이 됩니다.

XBH - Extra Base Hits  장타, 1루타를 제외한 2루타, 3루타, 홈런이 여기에 속합니다. 

GIDP, GDP - Ground into Double Plays ★ 병살타,  구체적으로 말하면 땅볼로 만들어진 더블플레이를 말합니다. 위 기록을 보면 발 빠른 디 고든은 병살타가 3개밖에 없었다는 것을 알 수 있네요. 거북왕 애드리안 곤잘레스는 맷 캠프보다 병살타가 적었습니다. 의외의 결과네요. 

NP - Number of Pitches ★ 투구수,  1경기 당 투수로 하여금 얼마나 많은 공을 던지게 하는지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1경기당 투구수 = NP / PA, 2013년 야시엘 푸이그는 경기당 3.6개의 공을 던지게 했고, 추신수는 4.2개의 공을 던지게 했습니다. 이 결과는 타자가 1년에 650타수를 소화한다고 가정할 때 420개의 공이 추신수 상대로 더 필요합니다. 


아래에 나오는 것들은 몇개를 빼면 자주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네요. 덜 중요한 것 들입니다. 


몇 타석만에 해당 기록이 나오느냐?

AB/GIDP - At-Bats per Grounded Into Double Play ★ 병살타가 몇 타수만에 나오는지를 알려줍니다.

AB/HR - At-Bats per Home Run ★ 홈런이 몇 타수만에 나오는지를 알려줍니다.

AB/RBI - At-Bats per Runs Batted In ★ 타점이 몇 타수만에 나오는지를 알려줍니다.



GSH - Grand Slam Home Runs ★ 만루 홈런을 말합니다. 

LIPS - Late Inning Pressure Situations ★ 클러치 상황, 9회 세이브 상황이 아니라 7회 3점차 이내에 있는 상황을 말합니다. Late and Close 라고 불리기도 하지요. 

LOB - Left On Base   잔루라고 합니다. 

PA/SO - Plate Appearances per Strikeout  ★ 몇타석만에 삼진을 당하는지 알려줍니다. 


SB% - Stolen Base Percentage ★ 도루 성공률을 말합니다. 

TP - Triple Play ★ 3중살을 말하네요. 대게 더블 플레이를 당하고 나서 남아 있는 주자가 멍청한 짓하다가  트리플 플레이를 당합니다. 푸이그의 트리플 플레이를 보시려면 아래의 글을 참조하세요. 

TPA - Total Plate Appearances ★ 총 타석수를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