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안 메이저리거/박병호

박병호 홈런 개수 예상, 미네소타 타겟필드 파크 팩터는?

베이스볼젠 2015. 11. 27. 11:04

박병호 메이저리그에서 홈런 몇개나 칠까?


예비 메이저리거 박병호는 타겟필드를 홈구장으로 사용하게 됩니다. 국내 모 언론사에서 미네소타 홈구장이 목동구장보다 중앙 펜스가 길어 박병호가 7m 타구를 더 날려야한다고 보도하고 있습니다. 과연 진실일까요? 


먼저 두 구장을 비교해보겠습니다. 


타겟필드 (좌측펜스 2.4m, 우측펜스 7m)

좌: 103m, 좌중: 115m, 센터 좌측코너 125m, 센터 우측코너: 123m, 우중: 111m, 우: 100m


목동구장 (펜스높이 2m)

좌: 98m, 좌중: 113m, 센터: 118m, 우중: 113m, 우: 98m 


박병호 홈런 개수 예상, 미네소타 타겟필드 파크 팩터는?



위 수치만 보면 분명 타겟필드가 커보입니다만, 실제 구장 크기를 비교해보면 조금 다른 결과가 나옵니다. 위 타겟필드를 보시면 타원형이 아닙니다. 아래 위성사진에서 잘 비교되어 있는데요, 우타자에게 홈런이 많이 나오는 좌중간부터 좌측펜스까지 오히려 목동구장보다 타겟필드가 더 유리합니다. 



우타자에게 유리한 타겟 필드

타겟필드는 우측 펜스가 높아 좌타자에게 불리한 구장이지만 우타자에게는 오히려 유리한 구장입니다. 타겟필드는 위 사진에서 잘 나타나있듯이 잠실 구장보다 홈런을 치는게 더 유리한 구장입니다. 강정호의 팀 PNC 파크는 우타자가 홈런치기 매우 불리한 구장입니다만 타겟필드는 우타자가 유리한 구장입니다. 


2014년 Fangraphs.com 기준 타겟필드의 왼손 타자 홈런 파크팩터는 91이고, 오른손 타자는 98입니다. 오른손 타자가 반면 피츠버그의 PNC 파크 경우 왼손 타자가 홈런 파크 팩터가 92이고 오른손 타자는 85로 불리합니다. 타겟필드가 오른손 타자 홈런 파크팩터 18위이고 PNC 파크는 30위로 오른손 타자에게는 최악의 구장입니다. 


타겟필드 비교 (빨간색: PNC 파크)


잠실 구장과 비슷한 카우프먼 스타디움과 타겟필드 비교


타겟 필드는 중립 구장

타겟필드는 메이저리그 구장 중 추운 구장으로 손꼽힙니다. 날씨가 추울 경우 타구의 비거리가 줄어듭니다. 그래서 타겟 필드가 메이저리그에서 홈런이 적게 나오는 구장이라고 보도하고 있는데 이것도 사실이 아닙니다. 5년간 홈런 파크팩터를 조사한 결과 랭킹 17위였고 중립구장으로 봐야합니다. 


구장 문제로 정말 걱정해야하는 것은 강정호입니다. 아래 홈런 파크 팩터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피츠버그 PNC 파크는 홈런 팩터 28위를 기록했고 홈런이 적게 나오는 구장입니다. 박병호가 뛸 미네소타 타겟 필드는 홈런을 걱정할 수준의 구장이 아닙니다. 


최근 5년간 홈런 파크팩터


지금까지 미네소타 홈구장 타겟필드가 어떤 구장인지 살펴보았는데요, 본격적으로 박병호 홈런 개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박병호는 KBO에서 2년 연속 50개 이상 기록하며 홈런왕에 올랐습니다. 현재 메이저리그 진출시 박병호의 홈런 개수가 20개에서 30개까지 예측되고 있습니다. 

박병호 홈런 개수 예상
피츠버그 트리뷴 트래비스 소칙 30개 
마이데일리 대니얼 김 30개 
하드볼 타임스 브라이언 카트라이트 29개 
옐로우카드 이창섭 25.6개
베이스볼 프로스펙터스 클레이 데이븐포트 24개 
MLB.com 마이크 바우먼 20~25개= 22.5개 


어려운 30개 홈런
메이저리그에서 30개 이상 홈런 치는 것이 매우 어렵습니다. 2015년 메이저리그에서 30개 홈런 이상 친 선수는 19명 밖에 되지 않습니다. 스프링캠프에서 홈런 1위로 많은 기대감을 모았던 신인왕 크리스 브라이언트는 26개의 홈런을 기록했습니다. 다저스 신인 작 피더슨 또한 26개의 홈런을 기록했네요. 

신인 선수들은 수준 높은 메이저리그에 적응해야하는 기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수의 홈런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박병호 또한 메이저리그 신인으로서 많은 홈런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신인이기 때문에 출전 기회를 온전하게 받을 수 없는 것도 이유가 될 수 있습니다.


최근 5년간 신인 중 홈런 최고 기록
2015년 1위 크리스 브라이언트, 작 피더슨 26개
2014년 1위 호세 아브레유 36개, 2위 조지 스프링어 20개
2013년 1위 제드 저코 23개, 2위 에반 게티스 21개
2012년 1위 마이크 트라웃 30개, 2위 윌린 로사리오 28개
2011년 1위 마크 트럼보 29개, 2위 J.P. 아렌시비아 23개
기록: Fangraphs.com

특히 신인 선수들은 수준 높은 메이저리그에 적응해야하는 기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수의 홈런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박병호 또한 메이저리그 신인으로서 많은 홈런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신인이기 때문에 출전 기회를 온전하게 받을 수 없는 것도 이유가 될 수 있습니다.


박병호 구종별 타율

박병호는 메이저리그에 잘 적응할 수 있을까요? 먼저 박병호의 빠른 공 대처 능력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2015년 메이저리그 포심 패스트볼 평균 구속은 92.4마일(148.7km)이었습니다. 박병호는 146~150km 빠른 공에 대해 24타수 10안타(5홈런)에 타율 .417로 매우 뛰어났습니다. 151~155km 빠른 공은 7타수 2안타 타율 .286를 기록했습니다. 


박병호는 변형 패스트볼에 대해서도 나쁘지 않았습니다. 투심 패스트볼 타율 .500 (6타수 3안타), 싱커 타율 .500 (6타수 3안타), 스플리터 타율 .143 (28타수 4안타)를 기록했습니다. 기록을 보면 박병호가 메이저리그에 적응하는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패스트볼 146~150km 타율 .417

패스트볼 141~155km 타율 .286

투심 패스트볼 타율 .500

싱커 타율 .500

스플리터 타율 .143

기록: 스탯티즈, KBS 옐로우카드2 중



홈런 비거리 기준

위 박병호 홈런 예상 중 이창섭의 데이터 접근 방법이 흥미롭습니다. 소개하면요, 박병호의 최근 2년간 홈런 평균 비거리는 123.3m(404.5피트)이고 비슷한 홈런 버거리를 보유한 타자 10명을 조사했더니 평균 25.6개의 홈런이 나왔다고 합니다. ESPN 자료와 비교해보니 거의 비슷합니다.  


선수 / 소속 / 홈런 / 비거리 (피트)

Longoria, Evan / TB / 21 / 405.2

Calhoun, Kole / LAA / 26 / 405.1

Sano, Miguel / MIN / 18 / 404.9

Ortiz, David / BOS / 37 / 404.6

Moustakas, Mike / KC / 22 / 404.5

Davis, Chris / BAL / 47 / 404.5

Jones, Adam / BAL / 27 / 404.1

Bryant, Kris / CHC / 26 / 403.9

Morales, Kendrys / KC / 22 / 403.6

Beltre, Adrian / TEX / 18 / 403.3

* ESPN 자료 기준 홈런 26.4개 


잠실구장은 메이저리그 수준

박병호 홈런 개수 예상을 잠실구장 기준으로 적용해보면 어떨까요? 잠실구장 만큼 메이저리그에 큰 구장도 없습니다. 잠실구장은 투수들에게 홈런 비거리만큼은 수준급 투수로 만들어줍니다. 잠실에서 홈런 치는 것이 어쩌면 메이저리그 투수 상대로 홈런을 치는 것과 비슷하다고 가정하고 계산해보겠습니다. 


박병호는 최근 3년간 잠실에서 48경기 7개의 홈런을 기록했습니다. 홈런 수에다 경기 수를 나누면 HR / G =7 / 48 = 0.146이 됩니다. 잠실 기준으로 1경기 당 0.146개를 때려내는 것이지요. 메이저리그 경기가 162번 있으니 경기당 홈런 수를 곱하면 162*0.146 = 23.6개가 됩니다. 


좌: 신인왕 구자욱, 우: MVP 에릭 테임즈


테임즈 기준 KBO MLB 성적 변환 

2015년 MVP를 받은 에릭 테임즈는 박병호와 더불어 최고의 활약을 펼쳤습니다. 메이저리그에서 통산 .250를 기록한 에릭 테임즈는 KBO와 메이저리그의 수준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열쇠가 될 수 있습니다. 에릭 테임즈 기준 KBO와 메이저리그 간의 성적(홈런) 변화를 계산해보겠습니다. 


박병호 / 140 경기 / 타율 .343 / 홈런 53 / 타점 146 / OPS 1.150 / WAR 8.96

테임즈 / 142 경기 / 타율 .381 / 홈런 47 / 타점 140 / OPS 1.287 / WAR 11.73

기록: KBO, kbReport


에릭 테임즈는 메이저리그 181경기에서 통산 21개 홈런을 쳤습니다. KBO에서는 2년간 267경기에 나와 홈런 84개를 기록했습니다. 박병호는 최근 2년간 268경기에서 105개 홈런을 기록했습니다. 에릭 테임즈와 박병호에 대해 비례식을 사용해서 메이저리그 162경기 기준 홈런 개수를 구해보니 23.4개가 나왔습니다. 


테임즈 KBO 84홈런 / 267 경기 = 0.315

테임즈 MLB 21홈런 / 181 경기 = 0.116

박병호 KBO 105홈런 / 268 경기 = 0.392

박병호 MLB 경기당 홈런수 계산 = ????

0.315 : 0.116 = 0.392 : X
X = 0.144 (박병호 MLB 경기당 홈런수)

메이저리그 162 경기 * 0.144 = 23.4 


앞서 잠실야구장 기준 홈런 23.6개와 테임즈 기준으로 계산한 박병호 MLB 홈런 23.4개가 매우 흡사함을 알 수 있습니다. 앞서 잠실야구장이 홈런에서만큼은 메이저리그급으로 변한다고 추정한 것이 크게 잘못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메이저리그 홈런 개수 = (잠실구장 경기 당 홈런 개수) * 162경기"라고 간단하게 추정할 수 있다는 이야기이지요. 


MLB 홈런 개수 = (잠실구장 경기당 홈런수) * 162경기



김현수 MLB 홈런 개수는?

살짝 김현수 이야기를 하면요, 김현수는 잠실 구장 때문에 파워에서 상대적으로 저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김현수는 2015년 잠실구장 77경기에 나와 홈런 12개를 기록했고 2014년 잠실구장 71경기에 나와 홈런 8개를 기록했습니다. 잠실 기준으로 김현수 메이저리그 홈런 개수는 2015년 기준 25개, 2014~2015년 기준 22개가 나옵니다. 김현수의 파워는 드넓은 잠실 구장 때문에 분명 저평가 되었습니다. 


김현수 메이저리그 홈런 예상

25개 - 2015년 잠실 구장 기준

22개 - 2014~2015년 잠실 구장 기준



마무리

박병호 홈런 개수 예상에 대해 마무리해야할 시간이네요. 메이저리그 전문가 6명의 홈런 예상 개수, 잠실구장 기준 홈런 개수, 테임즈 기준 홈런 개수를 평균내면 홈런 26개 나옵니다. 이 홈런 개수는 2015년 신인왕 크리스 브라이언트와 다저스 신인 작 피더슨의 홈런 수와 일치하네요. 


베이스볼젠에서는 박병호 메이저리그 홈런 개수는 26개로 예상합니다. 이런 예상을 훌쩍 넘어 박병호가 메이저리그에서 30개 이상 홈런을 기록하면 좋겠습니다. 



[Copyright ⓒ 베이스볼젠 BaseBallG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